M4 맥미니 2TB SSD 업그레이드 하기(서드파티)
개발인 ·
목차
- 시작하며...
- 맥미니(Mac Mini) M4 CTO 구매
- SSD 2T 구매
- SSD 교체
- 초기화 (설치)
- 정리하며...
시작하며...
Mac Mini M4를 구매하고 내장 SSD를 직접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카페등을 검색해보니 직적설치한 SSD에 관한 보증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자세하지 않음)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는 썬드볼트4 지원되는 외장 SSD (인클로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저는 1개월 이상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맥미니 M4는 애플 최고의 가성비 라고도 합니다. 다만, 업그레이드(CTO) 비용은 애플답게(?) 많이 비쌉니다. 그래서 저는 메모리는 자가업그레이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무리해서 32GB로 업그레이드(CTO)하고 SSD는 서드파티로 구매해 자가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선택 했습니다. (저는 개발업무를 위해 구매했습니다.)
1. 맥미니 구매
-
공식사이트에서 구매 (https://www.apple.com/kr/mac-mini/)
-
학생/교직원 이라면 공식사이트에서 학생/ 교직원으로 구매
또는 학생복지사이트에서 구매 https://www.univstore.com/brand/apple
- 빠른 배송및 미리 CTO 된 제품을 구입하시려면 쿠팡등을 이용
CTO로 구입하시면 2주에서 6주까지 소요 됩니다.
SSD 구매
SSD는 용량은 1TB, 2TB. 매모리 제조사는 SANDISK(샌디스크), 키옥시아(도시바) 이렇게 2가지가 있습니다. 키옥시아가 조금 더 비쌉니다. 검색해 보니 차세대 방식이라고 더 비싸다고 하는 내용을 봤습니다. 저는 키옥시아를 선택 했습니다. (그런데...... 설치시 고생 했습니다. 샌디스크는 시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고생을 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구매는
- 바이두 구매 (직배송 또는 배송대행이용): 제일 저렴하게 구매가능, 다만 초보자는 어려울수 있음. 결제방식, 수수료등등
- 알리익스프레스 (직배송): 바이두 보다는 조금 더 비쌈. 바이두에서 구매하는 것 보다는 조금 더 마음이 편함, 그래도 불량시 반품등의 걱정이 됨.
- 아마존(미국) 구매: 환율때문인 뭔지, 많이 더 비쌈. 불량시 미국이라고 더 안심되지는 않음.
- 구매대행 이용하기 (네이버 쇼핑, 쿠팡등): 잘 찾아 보면 알리익스프레스 가격으로 구매 가능.
어떤걸 선택하더라도 애플 공식 업그레이드(CTO) 보다는 아주 많이 저렴합니다.
기타 준비물
- 드라이버는 T4, T5, T6 규격의 드라이버입니다.
- SSD를 구매하면 보통 번들로 주는데 없으면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흡착기는 역시 보통 번들로 주는데 조금 불안하지만 없어도 됨.
- 해라는 스크레치 방지로 플라스틱 해라 사용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 다만 없으면 안쓰는 신용카드오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맥미니 분해 및 SSD 교체
전원 차단 후 분해 준비
먼저, 맥미니의 전원을 완전히 끄고 전원 케이블을 분리합니다. 이렇게 해야 전자기기 내부의 잔여 전기가 흐르지 않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나사 풀기
분해를 시작하기 전에, 맥미니 하단에 위치한 나사를 풀어야 합니다. 나사의 종류가 조금 다르므로, 각 나사에 맞는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풀어줍니다.
- T4 드라이버: 맥미니 하단의 나사
- T5 드라이버: 양측면에 있는 나사
- T6 드라이버: 내장 부품에 접근하기 위한 나사
풀어놓은 나사는 분리 후 정리해두어야 나중에 다시 조립할 때 혼동을 피할 수 있습니다.
기존 SSD 제거
기본적으로 제공된 256GB SSD를 제거하려면, 맥미니 내부에서 SSD를 고정하는 나사를 풀어야 합니다. 나사를 풀고 SSD를 조심스럽게 빼낸 뒤, 새로운 SSD를 장착합니다.
3. 새로운 SSD 장착
새로운 2TB SSD 장착
새로운 2TB SSD를 기존 SSD의 자리에 장착합니다. SSD를 끼울 때, 방향에 맞춰 정확히 삽입해야 합니다. 삽입한 후에는 고정 나사를 다시 조여주어야 합니다.
- 2TB SSD 설치: SSD의 방향을 맞추어 정확히 끼워넣습니다.
- 나사 고정: SSD가 움직이지 않도록 나사로 고정합니다.
4. OS 설치 및 초기화
OS 복구 및 설치 준비
새로 장착한 SSD에는 운영 체제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OS를 복구하거나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맥미니에는 macOS 복구 모드가 내장되어 있어, 복구 절차를 통해 OS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애플 아이디 로그아웃: 새로운 SSD를 사용할 때, 기존 아이디와 기기 등록을 해제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기기 인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복구 모드 실행: 전원 버튼을 누르고 복구 모드로 들어가면, OS 복구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DFU 모드 시도
가끔 복구 모드로도 OS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DFU 모드를 통해 복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DFU 모드에서는 맥을 초기화한 후, 다시 OS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DFU 모드 활성화: DFU 모드를 활성화하고, 맥을 연결하여 OS를 복구합니다.
5. 성능 측정 및 결과
성능 테스트
새로운 SSD를 장착한 후, 성능을 테스트해 봤습니다. 기존 SSD에서 읽기/쓰기 속도가 1700MB/s였던 반면, 2TB SSD로 업그레이드한 후에는 약 4,600MB/s로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서 효율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비용 대비 성능
애플 공식 웹사이트에서 2TB SSD를 추가하려면 약 120만원이 추가되지만, 제가 20만원을 들여 직접 업그레이드한 결과, 비용 절감은 물론 성능 향상도 이루었습니다. 이는 상당한 가성비를 자랑하는 업그레이드 방법입니다.
마치며
M4 맥미니의 2TB SSD 업그레이드는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이루는 좋은 방법입니다. SSD 교체 작업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필요한 도구와 정확한 절차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더 넓은 저장 공간과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를 경험할 수 있었고, 기존의 맥미니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만약 SSD 용량이 부족하거나 성능을 더 높이고 싶다면, 이 업그레이드를 적극 추천합니다.


